건강검진 할 때 위내시경은 40세가 넘으면 국가 검진으로 실시한다. 본인 부담금이 적어서 큰 금액 들이지 않고 할수 있어서 좋은데 항상 할때마다 위염과 헬리코박터균 얘기는 빠지지 않는 것 같다. 헬리코박터균이 있으면 위염이 낫지 않는다며 헬리코박터균 제균을 하자고 권하셔서 몇번을 망설이다 하게 되었다.
이번에는 헬리코박터균에 대해 알아보고 헬리코박터균 치료약과 부작용에 대해 살펴보자
[목차]
1. 헬리코박터균 이란?
2. 헬리코박터균을 제균해야 되는 경우
3. 헬리코박터균 치료약
4. 헬리코박터균 치료약 부작용
헬리코박터균 이란?
헬리코박터균은 음료 광고에도 나오고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하다. 감염경로는 아직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현재로서는 구강을 통해 전파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즉 전염성이 있다는 말이다. 음식을 한 그릇에 놓고 함께 떠 먹거나 침이 묻은 컵을 같이 쓰는 경우, 술잔을 돌리는 행동으로 전염될 수 있으니 밥을 같이 먹을 때 그릇은 따로 쓰는 것이 좋다.
위에는 강력한 위산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어떻게 헬리코박터균은 살아 남을까 생각했는데 헬리코박터균은 자체적으로 위산으로부터 보호하는 능력이 있어서 위벽에 달라붙어 살 수 있다. 나선 모양의 헬리코박터균은 위점막과 점액 사이에 기생한다.
헬리코박터균은 전 세계인의 약 50%가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매우 흔한 균인데 우리나라의 경우 어린이의 20%, 중년층의 70%, 그리고 노년층의 경우 90%가 감염되어 있다고 하니 사실 헬리코박터균이 없는 사람이 더 적을 지경이다.
헬리코박터균 제균
헬리코박터균은 그대로 두어도 문제가 없을까?
철저한 제균으로 없애야 된다는 주장과 같이 공존해도 된다는 주장이 있는데 몇몇 경우의 경우는 꼭 제균해야된다는 데 이견은 없다.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되면 보통 위염이 자주 발생하고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및 위암 등 여러 소화기질환의 발병위험을 높인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모든 감염자가 치료받을 필요는 없다. 헬리코박터균은 위를 보호하는 점액을 줄이고 염증을 발생시켜 위벽을 약하게 만들어 위건강에 좋지 못하다.
그럼 반드시 헬리코박터균을 제균 해야 되는 경우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 위·십이지장궤양환자
▶ 위궤양의 말트(MALT)림프종환자
▶ 내시경절제술을 받은 조기위암환자
▶ 위암가족력이 있는 경우
▶ 철결핍성빈혈 및 만성특발성혈소판감소증환자
▶ 위축성위염환자
▶ 기능성소화불량증상이 심한 환자
▶ 장기간 저용량 아스피린 투여환자
헬리코박터균 치료약
헬리코박터균 치료약으로는 위산분비억제제와 2가지 항생제가 처방되는데 아침/저녁으로 하루 2번, 14일간 복용해야 한다병원에 따라 3주를 복용하라고 하는 곳도 있다. 이렇게 독하다면 독한 약을 장기간 먹어도 헬리코박터균 제균율은 약 70~80% 성공율이다. 사실 이렇게 먹으면 100% 성공율인 줄 알았는데 놀랬다. 그만큼 헬리코박터균을 없애는 것이 힘든 것 같았다.
만약 1차 치료에 실패하면 약을 변경하여 2차 치료를 시행하는데 1차 치료 후 시간적 간격을 두고 투여한다.
2차 치료를 시행 약을 복용하는 중에는 금주, 금연하는 것이 필요하며, 너무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도 드시지 않는 게 좋다. 왠만큼 강한 위를 가진 분이 아니면 약을 복용하는 동안은 속이 평소 같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식이도 같이 조절하시는 것이 필수일 것 같다.
헬리코박터균은 2배로 증식하는 시간이 4~6시간으로 길지만 한 번이라도 약 복용을 잊으면 실컷 감소시켰던 헬리코박터균이 다시 증식하기 때문에 약 복용을 잊었다면 다음 날이라도 꼭 복용해 권고일수를 채워야 한다. 특히 위산분비억제제는 식전복용이 권장되지만 놓쳤다면 식후에라도 항생제와 함께 복용하도록 해서 처방받은 약은 꾸준히 다 먹어야된다.
헬리코박터균 치료약 부작용
헬리코박터균이 이렇게 질긴 균인줄 몰랐다. 사실 헬리코박터균 치료약을 먹으면서 너무 고통스러웠던 경험이 있다. 그래서 14일 처방 받았지만 10일 먹었다.
헬리코박터균 치료약 부작용으로 흔한 것이 메슥거림과 속쓰림, 설사이고 심해지면 구토나 피부발진 등이 나타난다. 헬리코박터균 치료약 부작용 증상이 심하면 꼭 의료진과 상의해서 항생제 외의 약을 더 먹던지 아니면 의사가 지시하는 데로 따르는 것이 좋다.
헬리코박터균 치료약 부작용에 고통스러워하며 임의로 10일만 먹었는데 제균이 안됐을까 엄청 걱정을 많이되서 제균 확인하러 오라고 하는 것도 가지 않았던 기억이 있다. 제균 후 2년 뒤 위 내시경때 헬리코박터균이 있는지 조직검사로 확인했고 다행히 없어져있어서 한숨 돌렸다.
비타민d 하루 권장량 및 부족증상 (tistory.com)
비타민d 하루 권장량 및 부족증상
한국인의 비타민D 결핍은 매우 심각한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나 질병관리본부 통계에 따르면 국내 비타민D 결핍환자는 계속 증가하고 있고, 연령별 하루권장량을 조사한 결과 국민의 90% 이상
cogitodavid.tistory.com
'건강한 인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로니아 효능 아로니아 먹는 가장 좋은 방법 (7) | 2023.04.11 |
---|---|
고려은단 비타민c1000 600정 효능 및 부작용 복용법 알아보아요 (0) | 2023.04.10 |
노니 효능 부작용 노니쥬스 복용법 제대로 알고 먹어보자 (7) | 2023.04.08 |
쏘팔메토의 효능 부작용 및 복용법 (0) | 2023.04.07 |
아르기닌 많은 음식 오르니틴 효능 부작용 (0) | 2023.04.06 |
댓글